경기도 교육청 및 학교 교육공무직 유형, 월 급여, 지급 수당 종류
전국 시도별 교육청 소속 교육공무직은 임금협상을 통해 연도별 월 급여와 수당을 결정됩니다. 임금협상의 기준 금액은 매년 고시되는 교육청별 생활임금입니다. 지금부터 경기도 교육청(산하 학교) 교육공무직 유형과 월급, 지급받는 수당의 종류과 금액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경기도 교육청 교육공무직 유형 경기도 교육청에서는 교육공무직을 2개의 유형으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유형에 따라서 월급 금액의 차이가 납니다. 1 유형: 영양사, 사서, 특수교육종일반강사, 특수교육 관련서비스지원가, 생활인권전문상담사, Wee센터 임상심리사, Wee센터 사회복지사, 진로직업특수교육지원센터전담강사, 학부모지원전문가, 학부모상담사, Wee프로젝트 전문상담사(舊 Wee클래스 전문상담사, Wee센터 전문상담사) 등 2 유형: 조리사,..
2023. 11. 15.
지자체 공무직 신분, 급여, 수당, 대우 총정리 (ft. 공무원과 차이 비교)
공무직 근로자는 중앙부처, 지자체, 교육청 등 국가 기관에서 근무하는 민간인 근로자를 말합니다. 공무원과 마찬가지로 정년이 보장되기 때문에 급여, 수당이 동일하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공무원과 비교하면 엄연히 다른 체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지금부터 지자체 공무직 월 급여, 지급받는 수당 종류와 금액, 신분, 근로기간 및 공무원과의 차이점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지자체 공무직 월 급여 및 수당 종류‧금액 공무직은 국가기관, 지자체 등에서 근무하면서 공무직(예전에는 무기계약직) 근로자라고 불리고, 교육청 및 국공립 유치원, 초‧중‧고등학교 근무하면 교육공무직이라고 합니다. 공무직과 교육공무직은 월 급여와 수당 종류 및 체계가 조금 다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지자체에서 근무하는 일반적인 공무직을 기준으로 급여와..
2023. 11. 10.
기간제근로자 근무조건, 월 급여, 수당, 퇴직금 총정리
중앙부처, 지자체에서 자주 기간제근로자를 채용합니다. 기간제근로자는 비교적 단기간 근무하는 계약직 직원으로, 일당을 기준으로 급여를 받습니다. 지금부터 기간제근로자 근무조건 및 월 급여, 수당 종류, 계약 종료 후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기간제근로자란? 기간제근로자는 일정기간만 근로계약을 체결하고 공공기관에 근무하는 사람을 말합니다. 중앙부처, 지자체에서 일용직, 임시직 형태로 일하는 것입니다. 관련 분야 자격증이 있는 사람만 응시할 수 있는 전문 분야의 기간제근로자부터 단순 업무를 위해 모집하는 기간제근로자까지 모집 분야는 다양합니다. 채용 방식 및 근무조건 채용방식: 공개경쟁방식으로 서류전형과 면접시험을 통과하면 채용됩니다. 전문지식이나 기술을 필요로 하는 업무(변호사, 학예사 등..
2023. 11. 7.
(일반, 전문, 시간선택제, 한시) 임기제 공무원 연봉, 수당 비교
공무원 중에는 별도의 임용시험 없이 일정 기간만 임용하는 임기제 공무원이 있습니다. 경력과 자격 요건에 부합하면 임기제 공무원에 응시할 수 있습니다. 지금부터 임기제 공무원 4종류(일반, 전문, 시간선택제, 한시)의 차이를 비교하고 채용조건, 근무기간, 수당, 급여(연봉) 등에 대해서도 알려 드리겠습니다. 임기제 공무원 종류 및 채용조건 차이 임기제 공무원은 공무원 신분을 보장받지만 임용시험을 통해 선발된 일반 공무원처럼 정년을 보장받지 못합니다. 모집 공고에 명시된 근무 기간부터 최대 5년까지 일할 수 있는 계약직 공무원으로 봐야 합니다. ㅣ임기제 공무원 종류 임기제 공무원에는 일반임기제, 전문임기제, 시간선택제임기제, 한시임기제가 있습니다. 4종류의 임기제 공무원은 채용 조건에 다음과 같은 차이를 보..
2023. 11. 3.
시간선택제 공무원 종류(채용, 전환, 임기제) 및 승진, 급여, 수당 차이
공무원 중에는 일반적인 근무시간(1일 8시간, 주 40시간) 보다 짧게 근무하는 시간선택제 공무원이 있습니다. 근무시간이 짧기 때문에 일반 공무원에 비해 승진, 급여, 수당 등에서 다소 차이가 날 수밖에 없습니다. 지금부터 시간선택제 공무원 종류 및 승진, 급여(본봉), 수당 등에 대해 알려 드리겠습니다. 시간선택제 공무원 종류 및 비교 시간선택제 공무원은 전일제 공무원에 비하여 근무시간이 짧은 공무원을 말하며, 채용, 전환, 임기제 공무원으로 구분됩니다. 1. 시간선택제 채용공무원 채용방식: 최초 임용할 때부터 시간선택제로 채용된 공무원으로 전일제 공무원처럼 별도의 임용시험을 치지 않고, 경력과 자격이 필요한 서류전형과 면접시험을 통해 선발됩니다. 근무기간: 전일제 공무원과 같은 정년을 보장받습니다. ..
2023. 11. 2.
공무원 직렬별 가산점 자격증(기술사, 기사, 산업기사, 기능사) 종류 및 비율
공무원 임용 시험에서 직렬별로 가산점을 받는 국가기술자격증 종류는 다양합니다. 응시하려는 직급에 따라서 기술사, 기능장, 기사, 산업기사, 기능사 등급에 따라 가산되는 비율도 5% 또는 3%로 달라집니다. 지금부터 행정직, 기술직 공무원 직렬, 직류별로 가산점 자격증 종류 및 비율에 대하여 알려 드리겠습니다. ■ 국가기술자격 가산점 비율 국가기술자격은 기술사, 기능장, 기사, 산업기사, 기능사로 등급이 구분되어 있는 자격증을 말합니다. 공무원 시험에서는 직급 및 국가기술자격의 등급에 따라 가산 비율이 다음 표와 같습니다. 직급 기술사, 기능장, 기사 산업기사 기능사 7급 5% 3% - 8급, 9급 5% 5% 3% 참고로, 보건직 및 의료기술직 9급에 적용되는 임상심리사 1급, 임상심리사 2급의 가산비율은..
2023. 10.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