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산림기능사 시험일정, 응시자격, 난이도, 합격률까지! 산림기능사 자격증을 준비하는 수험생을 위해 모든 정보를 알려드리겠습니다.
■ 2025년 시험일정
산림기능사는 산림 관리, 조림, 벌목, 임업기계 운용 등 산림 관련 실무 전반을 담당할 수 있는 국가기술자격증입니다. 매년 3회의 정기 시험이 있습니다.
구분 | 1회 시험 | 2회 시험 | 3회 시험 |
필기 접수 | 1.06 ~ 1.09 | 3.17 ~ 3.21 | 6.09 ~ 6.12 |
필기 시험 | 1.21 ~ 1.25 | 4.05 ~ 4.10 | 6.28 ~ 7.03 |
필기 합격 발표 | 2.06 | 4.16 | 7.16 |
실기 접수 | 2.10 ~ 2.13 | 4.21 ~ 4.24 | 7.28 ~ 7.31 |
실기 시험 | 3.15 ~ 4.02 | 5.31 ~ 6.15 | 8.30 ~ 9.17 |
최종 발표 | 4.11 | 6.27 | 9.26 |
ㅣ원서접수 시, 준비물
- 반명함판 사진 파일
- 시험 응시료: (필기) 14500원, (실기) 64200원
■ 필기·실기 응시자격 및 시험과목
ㅣ응시자격: 별도의 응시자격이 없습니다.
ㅣ시험과목 및 출제방식
구분 | 과목명 | 방식 | 시간 |
필기 | (3과목) 조림 및 육림기술, 산림보호, 임업기계일반 | 객관식 60문항(4지 선다) | 60분 |
실기 | (1과목) 산림작업(수종 구별, 식재지 관리 및 목재수확 작업) | 작업형 | 2시간 |
ㅣ합격기준
- 필기: 100점 만점 기준으로 60점 이상 득점(60문항 중에서 36문항 이상 정답 시, 합격 가능)
- 실기: 100점 만점 기준으로 60점 이상 득점
■ 시험 난이도
최근 3년간의 합격률과 기능사 자격증임을 감안할 때, 시험 난이도는 평이합니다. 물론 준비 정도에 따라 체감 난이도는 달라질 것입니다.
- 필기: 일반 수험서를 구입하여 이론 숙지와 기출문제 다회독 풀이만으로도 합격할 수 있는 수준입니다.
- 실기: 필기시험보다는 까다롭고 벌목, 톱 연마 등의 작업형 문제가 출제되므로 관련 경험이 없다면 학원 다니면서 연습을 해야만 합니다. 단, 실기시험 문제도 정형화되어 있기 때문에 연습을 충실히 하고 시험 당일 크게 긴장하지 않는다면 합격가능한 수준입니다.
ㅣ최근 3년간 합격률 비교
연도 | 필기 | 실기 | ||||
응시 | 합격 | 합격률(%) | 응시 | 합격 | 합격률(%) | |
2024년 | 5,090명 | 2,792명 | 54.9% | 2,929명 | 2,217명 | 75.7% |
2023년 | 5,118명 | 2,842명 | 55.5% | 2,995명 | 2,320명 | 77.5% |
2022년 | 4,921명 | 2,770명 | 56.3% | 2,982명 | 2,325명 | 78% |
산림기능사는 임업, 조경회사, 벌목 업체에 취업하고자 하는 사람, 산림청이나 공원 같은 공공기관의 취업 준비생에게 강력 추천되는 자격증입니다.
특히 실기시험 준비만 철저히 한다면 비교적 짧은 시간 안에 자격증 취득이 가능하니, 잘 준비하셔서 합격하시기 바랍니다.
댓글